MO8 - 사전과 집합
·
💂군대/KAIST ICT Academy
1-1)  Dictionary● 사전자료형은 dict으로 표현되며 dictionary의 준말이다.● key:value형식을 띄며, key:value의 한쌍이 사전을 이루는 한 원소이다.● 리스트는 대괄호, 튜플은 소괄호였다면 사전과 집합은 중괄호로 원소들을 감싼다. *key의 경우 자료형의 제약을 받는다. 바로 Hashable해야 한다.Hashable: 해시함수에 넣어 해시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따라서 hash는 어떠한 특정 값에 대해서 유일한 값을 가져야 한다.사전 자료형의 key값은 hashable해야하고 추후 수정, 변경을 하지 못하게 immutable한 자료형으로 존재해야 한다.따라서 key값으로 immutable한 튜플은 가능하지만 mutable한 리스트는 불가능하다. tmp = {"..
MO7 - 리스트와 튜플
·
💂군대/KAIST ICT Academy
시퀸스 자료형: str, list, tuple1. 리스트 자료형리스트 자료형은 자유도와 활용도가 매우 높아 파이썬 개발자들에게 자주 사용되는 자료형이다. 리스트는 반복 가능한(iterable)한 자료형이며 수학에서 배운 배열을 일반화 한 것으로 생각하면 쉽다. 리스트 자료형의 여러 메소드append: 특정 값을 리스트의 마지막 자리에 원소로써 추가한다.pop: 리스트의 마지막 원소를 추출 및 반환한다.count: 리스트 내에 특정 값이 얼마나 존재하는지 빈도수를 확인한다.index: 특정 값이 존재하는 인덱스를 반환(여러개가 있다면 가장 낮은 인덱스를 반환)remove: 리스트에서 특정값의 원소를 제거(여러개가 있다면 가장 낮은 인덱스를 제거)sort: 리스트의 원소들을 정렬(ascending order..
MO6 - 함수 매개변수와 반환값
·
💂군대/KAIST ICT Academy
지난시간에 함수를 직접 정의해봤다. 하지만 지난시간에 우리가 정의한 함수들은 인수도 없었고 리턴값도 없었다.이번시간에는 인수를 받는 방법과 리턴값에 대해 알아보자.1. 매개변수1-1) 매개변수● 함수에서 인수의 값을 받는 변수를 매개변수(parameter)라고 한다.● 함수에서 return이 실행되면 함수는 반환값을 돌려주고 바로 종료된다.def function_name(parameter1): ## 괄호안의 parameter1 이 함수의 매개변수 #first line of code... #. #. #. return some_result ## some_result가 함수의 반환값 ## return some_result1, some_result2와 같이 여러 값을 반환할 수도 ..
MO5 - 함수의 정의와 호출
·
💂군대/KAIST ICT Academy
1.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1. 다른 파일에 있는 함수도 갖고 올 수 있어 자주 쓸 기능을 함수로 만들어 계속 활용할 수 있다.2. 여러줄의 작업을 함수로 묶으면 작업을 쉽게 반복할 수 있다.3. 함수를 사용해서 함수 안에서 실행되는 코드를 숨길 수 있다.== 사용자는 함수의 코드에 무엇이 쓰이는지 하나도 몰라도 함수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함수의 기능을 추상화 한 것) 파이썬은 def키워드로 직접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def functionName():    함수 내용...  예시def say_hello(): print("Hello!") say_hello()for i in range(5): say_hello()  함수호출은 함수가 정의된 후에 나와야 한다. (def로 함수를 정의한 다음에 ..
MO4 - 조건문
·
💂군대/KAIST ICT Academy
1. if문1-1) if문에 있는 조건의 진리값에 따라 코드의 실행 여부가 결정된다.참이면 실행 거짓이면 실행하지 않음for문과 마찬가지로 들여쓰기가 중요하다.if 조건A: 코드A ## 조건A가 참이면 코드A실행 1-1) 여러 조건을 확인하는 경우elif(else if의 약자)문을 사용처음 if문에서 조건이 맞지 않았을 경우 elif문을 검토하고 elif문에서 조건이 맞으면 코드를 실행한다.if 조건A: 코드Aelif 조건B: 코드B ##조건A가 거짓이고 조건B가 참일때 코드B실행 1-2) 어떠한 조건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모든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하고 싶은 코드가 있는 경우 else문 사용if 조건A: 코드Aelif 조건B: 코드Belse: 코드C ## 조건A도 거..
MO3 - 반복문
·
💂군대/KAIST ICT Academy
반복문은 말 그대로 똑같은 코드를 여러번 써야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문법이다. 1. for문for i in range(5): print("Hello world!") 파이썬은 들여쓰기로 문법을 구분하기 때문에반복하는 줄들(for문 안에 넣을 코드)은 for문을 만든 줄에 있는 들여쓰기 칸 수 보다 많아야하고, 같은 for문 아래에 있는 줄들의 들여쓰기 칸 수가 같아야한다. range() 자료형: 정수를 순서대로 반환할 수 있는 자료형, iterable자료형으로 iterable자료형은 객체를 하나씩 반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자료형을 뜻한다.range(n): 0~n-1까지 정수를 하나씩 반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range(start,end): start부터 end-1까지 정수를 반환range(start..
루오
'💂군대/KAIST ICT Academy'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