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한기 행군]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
·
💂군대/군생활
최근에 혹한기 전술 훈련 행군을 실시하였다. 행군은 내가 가장 겁먹었던 훈련중 하나이다. 거진 6~7시간동안 무거운 군장을 메고 걸어야한다. 훈련소에서도 가장 힘든 훈련이 행군이었으며, 특히 각개전투를 끝내고 바로 행군을 하였기에 훈련소에 행군은 지옥 그 자체였다. 훈련소와 동일하게 20km행군을 진행하였고 자대가 짧게 간건지 훈련소가 길었던 건지 아니면 내가 강해진건지 생각보다 힘들지 않았다. 물론 당연히 승모근이 힘들어하고 발바닥이 아픈건 똑같지만 그래도 처음 했던 행군보다는 버틸만 했다. 날씨가 잘 따라준 것도 한몫한거 같다. 이번 겨울동안 이례적으로 정말 덥지도 춥지도 않은 완벽한 날씨에 행군을 했다. 주제에 적어놓았듯이 행군에 느낀바는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 이다. 나는 군생활을 못하지도 그렇..
[혹한기] 최고의 추위와 대면하라
·
💂군대/군생활
최근에 혹한기 훈련이 끝났다. 인생에 몇번 해보지 않을 경험이기에 이 느낌을 잊지 않기 위해 글을 끄적여본다. 혹한기 훈련이 궁금한 사람을 위해 요약하자면 1. 너무 춥다. 2. 너무 덥다. 3. 죽을만큼 춥다. 위의 세가지가 혹한기에서 느낄수 있는 전부이다. 처음에 밖을 나가면 5겹이상 껴입지 않고 버틸수 없는 온도와 바람에 오들오들 떨며 훈련을 시작한다. 추위속에서 무거운 물건들을 나르고 초소에서 경계를 선다. 막상 훈련에 집중하고 몸을 움직이다보면 추위는 잊고 땀에 젖어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슬슬 해가 뜨며 기온이 올라간다. 아침에 5겹을 껴입고 훈련을 시작한 나는 후회를 하며 온몸과 옷을 땀으로 적신다. 슬슬 해가 지고 물자를 어느정도 나르다 보면 초소 경계를 교대하며 서야했는..
[독서] 마지막 몰입 - 짐 퀵
·
📖독서
자대에 전입와서 적응하느라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을때 군의관님이 추천해준 책이다. 책에 간간히 스스로 해보는 활동이 있는데 꼭 해보길 바란다. 자신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하는 부분에서 시작해서 철저한 계획을 세워 목표를 이룰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어렸을 때 뇌에 이상이 생긴 필자가 어떻게 해서 자신의 학습능력을 극대화했는지 학습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상용한 방법을 소개한다. 책에서는 누구나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limitless model을 소개한다. 모델의 첫번째 요소는 마인드 셋이다. 자신을 믿는, 한계란 존재하지 않다는 것을 수용하는 행위나 과정을 "unlimiting"이라고 정의한다. 나는 책을 통해 나의 한계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받아들였고 무엇이든 ..
Good bye 2023, Hello 2024!
·
😛Daily life
작년에 2022를 마무리하며..라는 글로 블로그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는데 어느새 2023을 마무리하며 라는 글을 쓰게 되었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한해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목표와 다짐까지 적어보려한다.2023년은 상반기는 사회생활을 했고 하반기에는 입대를 했기에 작년과 같이 나눠서 기록한다.  상반기의 목표는 부족한 학점을 채우자 였던거 같다. 컴퓨터공학부가 정확히 뭐하는 학과인지도 모르고 입학해서 1학년을 신나게 놀고, 코딩과목 학점도 신나게 말아먹었으니 복구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코딩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던 1학년때와는 다르게 1일 1백준으로 나름 자신감을 갖고 2학년을 시작했다. 그리고 1일1백준의 효과를 바로 체감할 수 있었다. 1일1백준을 할 때의 목표는 코드로 아무것도 만들지 못했기에, 단순..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
·
📚알고리즘/알고리즘 이론
DP: 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부분 문제로 분할하여 해결하고 부분문제들의 해를 바탕으로 큰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기법. 정의를 딱 보자마자 생각나는 생각이 분할정복이랑 비슷하다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내용은 문제를 나눈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문제해결방법이 아니다. 심지어 문제를 나누는 것도 분할정복은 큰 문제라는 덩어리를 여러부분으로 쪼개는 느낌이고, DP는 큰 문제의 이전 단계의 경우를 생각하는 걸 문제를 나눈다고 한다. 분할정복: 큰 덩어리 문제를 작은 덩어리로 쪼개서 해결한 뒤에 합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 DP : 큰 문제를 작은 부분 문제로 나누고 작은 부분 문제의 해을 저장하여 중복 계산을 피하거나, 작은 부분문제의 최적해로 점화식을 세워 큰 문제를 해결 DP는 문제 유형을..
분할정복(Divide and Conquer)
·
📚알고리즘/알고리즘 이론
● 분할정복(Divide and Conquer) 한번에 해결하기에 불가능하거나 매우 오래걸리는 문제를 작은 문제로 나눠서(분할) 해결하고 다시 결합하여(정복)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 **앞서 포스팅 했던 이분탐색 또한 분할정복을 사용한 알고리즘 Merge sort(병합정렬) 분할정복을 이용한 정렬방법으로 O(NlogN)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며 버블정렬, 삽입정렬, 선택정렬 보다 실행시간이 빠르다. (파이썬에 내장되있는 sort함수도 병합정렬) 병합정렬을 통해서 분할정복이 어떤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알아보자. 정렬을 하기 위해 임의의 무작위 배열 arr = [3, 25, 1, 75, 42, 100, 63, 38] 이 있다고 하자. 이 배열의 Divide 과정은 아래그림과 같다. 배열의 중간을 기준으로 더 이상 나..
루오
시드 모으는 공대생